▲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이 지난 7월 23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진행됐다. © 강수현 기자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준비를 앞두고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이 지난 7월 23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진행됐다.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은 한효정 커뮤니케이션분과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다. © 강수현 기자
|
이날 워크숍은 한효정 커뮤니케이션분과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들을 비롯해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작품의 관계자들이 현장에 참석했다.
이번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은 총 108작품이 공연될 예정이며, 공식참가작 12작품을 비롯해 기획초청작 12작품, 해외초청작 2작품, 특별참가작 4작품, 대학참가작 64작품, 시민참가작 14작품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에서 김진만 조직위원장이 인사를 하고 있다. © 강수현 기자
|
이날 워크숍 현장에는 김진만 조직위원장과 문삼화 예술감독을 비롯해 조정민 융복합예술분과 위원장 겸 연기분과위원장, 윤차연 연극치료분과위원장, 이훈희 언론분과위원장, 임밀 기획분과위원장, 한효정 커뮤니케이션분과위원장 등이 참석해 축제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과 인사말을 나눴다.
2인극 페스티벌의 창시자인 김진만 조직위원장은 “안녕하세요,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장 김진만입니다. 올해에도 치열한 경쟁을 뚫고 열정적으로 참석해 주신 64개 대학참가작 및 14개 시민참가작 관계자 여러분 환영합니다. 공연의 시작부터 끝까지 안전하고 멋진 작품으로 축제를 즐겨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환영인사를 건넸다.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에서 문삼화 예술감독이 인사하고 있다. © 강수현 기자
|
문삼화 예술감독은 “안녕하세요. 저도 작품을 쓰고 연출하는 사람입니다. 올해에 큰 역할(예술감독)을 맡아 영광입니다. 오늘 오신 여러분의 참신하고 좋은 작품이 기대됩니다. 공연장에서 또 뵙겠습니다.”라며 인사했다.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에서 조정민 융복합예술분과위원장이 인사하고 있다. © 강수현 기자
|
조정민 융복합예술분과위원장은 “23년간 민간에서 운영하는 가장 성공적인 축제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어 개인적으로도 영광입니다. 코로나시국에도 우리는 안전하게 행사를 진행한 노하우가 있습니다. 모두 단합된 열정과 노력으로 만들어진 좋은 작품으로 함께 하겠습니다.”라고 인사했다.
현장에는 참가작 전원이 무대에 올라 저마다의 작품을 소개하며 축제의 첫 인사를 통해 서로에게 알리는 시간이 이어졌다.
끝으로 김진만 조직위원장은 “이번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에서는 6개 부문 108여 개의 다양한 2인극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관객들이 2인극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좋은 작품들을 기대하겠습니다. 축제는 매년 이렇게 참가단체 워크숍과 함께 시작됩니다. 축제를 맘껏 즐기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덧붙이며 인사를 마쳤다.
제 23회를 맞이하는 올해의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은 오는 10월 29일(일) 오후 3시에 민송아트홀 2관에서 개막하고 한 달간 관객과 만나면서 축제를 즐기고, 11월 26일(일) 오후 5시에 폐막식 겸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 현장 © 강수현 기자
|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 현장 © 강수현 기자
|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및 시민참가작 워크숍 현장 © 강수현 기자
|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학참가작 워크숍 단체사진 ©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시민참가작워크숍 단체사진 ©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_시민참가작 공연일정]
공연일자
|
시간
|
작품명
|
단체명
|
11월 23일(목)
|
오후 6시
|
가면(가제)
|
호산나 대학 ‘연극치료동아리’
|
오후 7시
|
1906
|
시나브로
|
오후 8시
|
장마
|
팀 써니
|
오후 9시
|
살고 지고
|
프리지아
|
11월 24일(금)
|
오후 6시
|
마요네즈
|
극단 촉
|
오후 7시
|
그렇게 산을 넘는다
|
포스트76
|
오후 8시
|
짝꿍
|
하미하비
|
오후 9시
|
위대한 선물
|
리본 씨어터
|
11월 25일(토)
|
오후 3시
|
무대게임
|
지금여기시민극단
|
오후 4시
|
여름 섬의 꿈
|
극단 옴니버스
|
오후 5시
|
아빠들의 소꿉놀이
|
우리는 꿈을 실현시킨다
|
오후 6시
|
노근리에핀 꽃
|
성동구립극단
|
오후 7시
|
결혼심사
|
양생컴퍼니
|
오후 8시
|
현혹(眩惑)
|
극단 샘샘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_대학참가작 공연일정]
공연일자
|
시간
|
작품명
|
단체명
|
10월 31일(화)
|
오후 5시
|
잘 자요. 엄마
|
대진대학교
|
오후 6시
|
라 뮤지카
|
대진대학교
|
오후 7시
|
연극
|
대진대학교
|
오후 8시
|
아지트
|
대진대학교
|
오후 9시
|
직소
|
명지전문대학
|
11월 02일(목)
|
오후 5시
|
검은 별
|
서울호서예술실용전문학교
|
오후 6시
|
연선
|
영산대학교
|
오후 7시
|
바다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8시
|
초이스
|
청주대학교
|
오후 9시
|
Scripted
|
청주대학교
|
11월 04일(토)
|
오후 5시
|
모기도 빛을 향해 돌진하는데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6시
|
ㅅㅗㄱㅗㄱㅣㅆㅏㄹㅁㅕㄴ
|
명지전문대학
|
오후 7시
|
Interview
|
백석예술대학교
|
오후 8시
|
시나브로 -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
청주대학교
|
오후 9시
|
사계절
|
서울예술대학교
|
11월 06일(월)
|
오후 5시
|
어긋난 벌
|
극동대학교
|
오후 6시
|
불행전시관
|
청주대학교
|
오후 7시
|
쑥, 마늘 그리고 동물 수험생이 둘
|
극동대학교
|
오후 8시
|
시간은 끊임없이 흐르고 우리는 계속해서 서있다
|
극동대학교
|
오후 9시
|
디스토피아
|
청주대학교
|
11월 08일(수)
|
오후 5시
|
변두리 극장
|
호원대학교+백석예술대학교
|
오후 6시
|
길
|
백석예술대학교
|
오후 7시
|
파우스트 죽이기
|
경기대학교
|
오후 8시
|
기억
|
백석예술대학교
|
오후 9시
|
백, 스테이지
|
백석예술대학교
|
11월 10일(수)
|
오후 5시
|
SEX#(what is luv)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오후 6시
|
현재 시각=지:금
|
이화여자대학교
|
오후 7시
|
Find me!
|
경기대학교
|
오후 8시
|
Proof
|
백석예술대학교
|
오후 9시
|
작가
|
서울예술대학교
|
11월 12일(일)
|
오후 5시
|
트로피컬 센츄리얼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6시
|
플러그 빠진 날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7시
|
로딩 중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오후 8시
|
guest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오후 9시
|
꿈꾸는 내가 좋앙!
|
안양대학교
|
11월 14일(화)
|
오후 5시
|
구피
|
서일대학교
|
오후 6시
|
엄마의 사진첩
|
서일대학교
|
오후 7시
|
바퀴
|
서일대학교
|
오후 8시
|
다다
|
청주대학교
|
오후 9시
|
우주선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성결대학교 + 한양대학교
|
11월 16일(목)
|
오후 4시
|
Count24h
|
수원여자대학교
|
오후 5시
|
305호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오후 6시
|
너를 돌아보며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오후 7시
|
정상입니까
|
동덕여자대학교+백석예술대학교+동양대학교+인하대학교+중앙대학교 (정비사)
|
오후 8시
|
기억상점
|
안양대학교 (솔개팀)
|
오후 9시
|
여름에게
|
수원여자대학교
|
11월 18일(토)
|
오후 4시
|
시발始發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5시
|
오! 컬트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오후 6시
|
물어, 보다
|
가천대학교 + 세종대학교
|
오후 7시
|
침대 하나의 의미
|
한신대학교
|
오후 8시
|
우울한 풍경 속의 여자
|
인덕대학교
|
오후 9시
|
오해
|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
|
11월 20일(월)
|
오후 4시
|
신, sin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오후 5시
|
에덴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6시
|
아경과도
|
용인대학교
|
오후 7시
|
시스투스
|
청주대학교
|
오후 8시
|
방문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여-운김_유니버시티)
|
오후 9시
|
정전
|
서울예술대학교
|
11월 22일(수)
|
오후 4시
|
자살 도움 회사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오후 5시
|
햄스터 살인사건
|
동양대학교
|
오후 6시
|
인간을 위한 초고
|
서울예술대학교
|
오후 7시
|
녹색광선
|
단국대학교
|
오후 8시
|
파도
|
서일대학교
|
오후 9시
|
적의 화장법
|
서울예술대학교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정보]
개막일시: 2023년 10월 29일(일) 오후 3시
개막장소: 민송아트홀 2관
대학 및 시민참가작 시상식: 11월 26일(일) 3시
시상식 장소: 민송아트홀 2관
폐막일시: 2023년 11월 26일(일) 오후 5시
폐막장소: 민송아트홀 2관
특별참가작: 10월 29일(일)
특별참가작 공연장: 민송아트홀 2관
공식참가작: 10월 30일 ~ 11월 19일
공식참가작 공연장: 민송아트홀 2관
기획초청작: 11월 13일 ~ 11월 26일
기획초청작 공연장: 후암스테이지, 예술공간 혜화
대학참가작: 10월 30일 ~ 11월 22일
대학참가작 공연장: 극장 동국
시민참가작: 11월 23일 ~ 11월 25일
시민참가작 공연장: 극장 동국
해외초청작: 11월 24일 ~11월 26일
해외초청작 공연장: 극장 동국
주최: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주관: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ITI한국본부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대한민국공연예술제 우수공연예술제 지원사업), 한국연극협회
협력: 서울연극협회, (사)한국극작가협회, (사)한국연출가협회, (사)한국연극배우협회, 한국여성연극협회, 젊은연극제집행위원회, 예술문화연구회, 한국미디어문화협회, 예술경영네트웍스, 극단앙상블, (주)공연예술과치유, 백뉴스, 앙상블컴퍼니, ㈜가치고고, 고온문화예술
기획: 생생동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