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단체 워크숍 개최... 100편의 작품으로 관객과 만난다

김진만 조직위원장, “여러분이 빛나는 작품들의 주인공, 2인극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좋은 작품들을 기대”

고성희 기자 | 기사입력 2023/06/26 [13:54]
와글와글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와글와글
[현장]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단체 워크숍 개최... 100편의 작품으로 관객과 만난다
김진만 조직위원장, “여러분이 빛나는 작품들의 주인공, 2인극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좋은 작품들을 기대”
기사입력: 2023/06/26 [13:54]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의 개막을 위한 참가단체 워크숍이 지난 6월 25일(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열렸다.   ©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올가을 대학로에서 펼쳐지는 제 23'월드 2인극 페스티벌'의 개막을 위한 참가단체워크숍이 지난 625() 오후 2,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개최됐다.

 

이날 워크숍은 한효정 커뮤니케이션분과 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들을 비롯해 참가작 및 초청작 작품의 관계자들이 현장에 참석했다.

 

이번 제 23월드 2인극 페스티벌은 총 100작품이 공연될 예정이며, 공식참가작 12작품을 비롯해 기획초청작 12작품, 해외초청작 2작품, 특별참가작 4작품, 대학참가작 50작품, 시민참가작 20작품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워크숍 현장에는 김진만 조직위원장과 유태웅 집행위원장이 참석해 축제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과 인사말을 나눴다.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의 개막을 위한 참가단체 워크숍이 지난 6월 25일(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열렸다. 김진만 조직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고성희 기자


현장에서 사회자로부터 마이크를 건네받은 김진만 조직위원장은 안녕하세요,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장 김진만입니다. 이번에도 공식참가작 공모에 100여 팀들이 지원해주셨고, 그 중에서 심사위원들이 3단계의 심사 끝에 12작품을 선정하였습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공식참가작으로 선정되어 이 자리에 오신 여러분들 환영합니다라고 환영인사를 건넸다.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의 개막을 위한 참가단체 워크숍이 지난 6월 25일(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열렸다. 유태웅 집행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고성희 기자


이어 유태웅 집행위원장은 이렇게 직접 뵙게 되어서 영광스럽고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은 여러분들의 열정으로 더욱 빛이 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진행을 하다보면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들도 있겠지만 우리들의 땀으로 채울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라고 말하며,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사랑, 그리고 끊임없는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저희 집행부는 열린 마음으로 여러분들께 다가갈 것이며 언제든 의견 주시면 경청하도록 하겠습니다.”라며 인사했다.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의 개막을 위한 참가단체 워크숍이 지난 6월 25일(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열렸다. 문삼화 예술감독의 축하 인사를 전달 받은 사회자 한효정 커뮤니케이션 분과위원장이 대신 전달하고 있다.  © 고성희 기자


문삼화 예술감독은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이 23년의 전통과 노하우와 시스템으로 모든 사항이 척척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올해의 공식 기획 라인업에 모셔진 모든분들 축하드립니다. 2인극!! 배우들의 찐축제!!! 맘껏 한판 즐겨주시길 응원합니다라고 한효정 커뮤니케이션분과위원장을 통해 대신 인사했다.

 

끝으로 김진만 조직위원장은 그리고 목화밭의 고독 속에서를 연출해주실 기국서 선생님을 비롯한 기획초청작 여러분도 반갑습니다. 훌륭한 여러분의 작품들을 기획초청작으로 모시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 자리에 참석해주신 허윤정 배우님을 비롯한 빛나는 배우들의 무대가 벌써부터 기대됩니다,”라며 국내 유수의 작품과 스태프 및 배우들에게도 감사 인사를 전했다.

 

또한 이번 제23[월드 2인극 페스티벌]에서는 6개 부문 100여 개의 다양한 2인극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이 자리에 참석하신 여러분이 그 빛나는 작품들의 주인공들입니다. 관객들이 2인극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좋은 작품들을 기대하겠습니다. 축제는 매년 이렇게 참가단체 워크숍과 함께 시작됩니다. 축제를 맘껏 즐기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라고 덧붙이며 인사를 마쳤다.

 

▲ 제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의 개막을 위한 참가단체 워크숍이 지난 6월 25일(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다목적홀에서 열렸다. 출품작의 순서를 정하고 있다.  © 고성희 기자


23회를 맞이하는 올해의 '월드 2인극 페스티벌'은 오는 1029() 오후 3시에 민송아트홀 2관에서 개막하고 한 달간 관객과 만나면서 축제를 즐기고, 1126() 오후 5시에 폐막식 겸 시상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정보]

개막일시: 20231029() 오후 3

개막장소: 민송아트홀 2

폐막일시: 20231126() 오후 5

폐막장소: 민송아트홀 2

특별참가작: 1029()

특별참가작 공연장: 민송아트홀 2

공식참가작: 1030~ 1119
공식참가작 공연장: 민송아트홀 2

기획초청작: 1113~ 1126

기획초청작 공연장: 후암스테이지, 예술공간 혜화

대학참가작: 1030~ 1120

대학참가작 공연장: 극장 동국

시민참가작: 1121~ 1123

시민참가작 공연장: 극장 동국

해외초청작: 1124~1126
해외초청작 공연장: 극장 동국

 

*공식참가작 공연일정(공연장: 민송아트홀 2)

공연일자

참가단체명

작품명

, 연출

1031() ~

112()

보라,인간

Constellations

닉 페인 작, 강수경 연출

1

이민구 작, 손현규 연출

114() ~

115()

두하늘

샤프심

이진수 작, 강민호 연출

유희자

공무도하

정재춘 작, 이신영 연출

117() ~

119()

물속에서 책읽기

True comedy

김민중 작, 유수미 연출

신인류

이를 탐한 대가

김성진 작, 연출

1111() ~

1112()

각인각색

, 피우다

송현진 작, 이정하 연출

화담

이상의 날개

이상 원작, 박상협 연출

1114() ~

1116()

현장

아돌 후가드 작, 고능석 연출

집안싸움

무간도

김환일 작, 이준석 연출

1118() ~

1119()

사개탐사

친절한 고르스키씨

기하라 작, 박혜선 연출

스토리켓x커브볼

실종법칙

황수아 작, 주애리 연출

 

*기획초청작 공연일정(공연장: 후암스테이지+예술공간 혜화)

공연일자/공연장

참가단체명

작품명

, 연출

1114() ~

1116()

후암스테이지

로얄씨어터

스카프와 나이프

김수미 작, 윤여성 연출

아리

나는 꽃이 싫다

김수미 작, 정주영 연출

1118() ~

1119()

후암스테이지

전망

내 웨딩케이크는 누가 먹어버렸나

김나영 작, 심영민 연출

마임in

동행

강정균 작, 연출

1114() ~

1116()

예술공간 혜화

76

목화밭의 고독 속에서

베르나르 마리 콜테즈 작,

기국서 연출

휴먼비

용서

국민성 작, 최성봉 연출

1118() ~

1119()

예술공간 혜화

드림플레이 테제21 & 깐돌이 프로젝트

깐돌이와 나

김재엽 작, 연출

이브아 아트

마담 칼리가리의 캐비넷

이상은 연출

1121() ~

1123()

예술공간 혜화

경남연극협회

봄이 오면

김선율 작, 김은민 연출

앙상블

에스페란사

김진만 작, 연출

1125() ~

1126()

예술공간 혜화

이구아구

스쁘라브카-열람

안톤 체홉 원작,

정재호 연출

아트컴퍼니 드레

RULE

해롤드 핀터 원작,

김진복 연출

 

주최: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주관: 2인극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ITI한국본부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대한민국공연예술제 우수공연예술제 지원사업), 한국연극협회

협력: 서울연극협회, ()한국극작가협회, ()한국연출가협회, ()한국연극배우협회, 한국여성연극협회, 젊은연극제집행위원회, 예술문화연구회, 한국미디어문화협회, 예술경영네트웍스, 극단앙상블, ()공연예술과치유, 백뉴스, 앙상블컴퍼니, 가치고고, 고온문화예술

기획: 생생동동

 

고성희 기자 고성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 백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광고
많이 본 뉴스
광고